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분쟁이 미국 대통령 거부권 시한을 불과 하루 앞두고 배상금 2조원에 극적으로 합의했다. 양사는 11일 배터리 분쟁 종식 합의문을 공동 발표함으로써, 2년여의 분쟁을 종결했다.
이에 따라 SK이노베이션은 LG에너지솔루션에 총액 2조원의 배상금을 지급한다. 현금 1조원에 로열티 1조원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양사는 앞으로 10년간 이와 관련한 분쟁을 하지 않기로 했고, 국내외에서 진행된 모든 분쟁을 취하한다.
이번 합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ITC(미국 국제무역위원회) 결정 거부권 행사 시한을 하루 앞두고 이뤄졌다. 한국시간으로 12일 오후 1시가 거부권 행사 시한이었다. 특히 ITC가 LG에너지솔루션의 손을 들어 준 것에 대해, SK이노베이션은 미국 시장 철수까지 거론하는 등 강경 입장을 고수해 왔다.
미국 정부도 적지 않은 부담을 가질 수 밖에 없었고, 한국의 관련 산업 역시 위기에 직면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ITC는 양사의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분쟁에서 지난 2월10일 SK에 10년 수입금지 제재를 내린 바 있다.
한미 정부의 압박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악화 우려...최태원-구광모 회동
당초 LG에너지솔루션은 SK이노베이션 측에 3조원 이상의 배상금을 요구해 왔고, SK는 1조원 수준의 배상금을 제시하며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왔다.
그러나 정세균 총리를 비롯한 한국 정부와 여론, 그리고 미국 정부의 중재 노력에 따라 미 대통령 거부권 시한 직전에 전격 합의했다. 미 정부는 ITC 최종 결정 이후, 전기차 공급망 구축 및 일자리 창출 등 자국의 경제적 효과 때문에 양사 합의를 중재해 왔다.
이번 합의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도 지난달 말 비공개 회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의 소송전이 한미 양국의 첨단기술 공급망 우려로 비화됐고, 정부와 여론의 압박 또한 상당했기 때문이다. 그룹의 수장이 이번 합의에 일부 의견을 제시했고, 이후 실무진에서 빠르게 협의를 진행한 것이다.
양사의 합의로 인해, 그동안 위기설이 돌았던 한국 배터리 산업에 훈풍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정세균 총리는 지난 1월 양사의 분쟁이 국익에 도움이 안되고, 국내 배터리 산업의 경쟁력 악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실제로 양사의 분쟁을 틈타 중국 및 유럽 배터리 기업들이 성장세를 보였다. 중국 CATL이 LG에너지솔루션을 제치고 1위 자리에 올라섰고, BYD와 CALB 등의 중국 기업도 점유율이 상승했다.
이번 양사의 합의가 K-배터리의 동맹을 굳건히 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상을 되찾을 마중물이 될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