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 격전지 되는 한국, 삼성TV플러스의 승부수는?

[AI 요약] 넷플릭스를 비롯해 디즈니플러스, 애플tv플러스 등 글로벌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공룡들이 한국 시장을 두고 치열한 진검대결을 예고하는 가운데, 삼성전자 역시 자사의 OTT 서비스 '삼성TV플러스' 사업 확대하며 승부수를 띄우고 있다.


삼성전자는 자사 스마트TV의 부가 서비스로 제공되던 '삼성tv플러스'를 최근 인터넷 환경에서 광고만 시청하면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AVOD OTT 서비스로 확대하고 있다. (사진=삼성TV플러스 홈페이지)

넷플릭스를 비롯해 디즈니플러스, 애플TV플러스 등 글로벌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공룡들이 한국 시장을 두고 치열한 진검승부를 예고하는 가운데, 삼성전자 역시 자사의 OTT 서비스 ‘삼성TV플러스’ 사업 확대에 나섰다.

삼성TV플러스는 2016년 삼성 스마트TV를 구매해 사용하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무료 부가 서비스로 시작했다. 다루는 콘텐츠는 영화, 드라마, 예능, 뉴스, 스포츠 등 다양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삼성전자는 올해 4월부터 삼성TV플러스의 갤러시 스마트폰과 테블릿 전용 앱을 출시했고, 지난달부터 PC와 모바일 인터넷 환경에서 회원 가입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심지어는 경쟁사인 애플과 LG전자의 모든 디바이스를 통해서도 무료 시청이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서비스 확장과 동시에 지난달 무선사업부·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의 이원진 서비스사업팀장을 사장으로 승진시키는 이례적인 인사를 단행했다. 이 신임 사장은 ‘삼성TV플러스’ 서비스 출범을 주도한 인물이다.

삼성TV플러스, 넷플릭스와 뭐가 다를까?

국내 이용자들에게 OTT라고 하면 당장 떠오르는 것은 넷플릭스다. 매달 일정 금액의 구독료를 내고 다양한 콘텐츠를 마음껏 볼 수 있는 방식이다. 삼성TV플러스도 기본적으로는 OTT 범주에 포함된다.

삼성TV플러스가 국내 서비스하는 채널은 현재 30개다. 본격적으로 OTT 시장 공략에 나설 경우 채널 추가와 함께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사진=삼성TV플러스 홈페이지)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과 결정적으로 다른 것은 서비스 제공에 있어 구독료를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신 광고를 시청해야 한다. 이를 AVOD(Advertising VOD) OTT 플랫폼이라고 한다. 구독료 대신 광고를 시청하고 무료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는 SVOD(Subscription VOD) OTT 플랫폼이다. 유료 구독형인 것이다. OTT 플랫폼을 표방하고 있지만 공략하는 시장은 다르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처음 소식을 접했을 때는 ‘삼성전자가 안 그래도 경쟁이 치열한 OTT 플랫폼 시장에 왜 뒤늦게 진출할까’라는 의문이 들 법하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이를 ‘삼성전자의 빅피처’로 보는 분위기다.

삼성TV플러스는 3월 기준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영국, 독일, 캐나다, 호주, 브라질 등 14개국에서 1500만명의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서비스하는 채널은 240여 개, 우리나라에서는 30개 채널을 서비스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가 올리는 연간 광고 수익은 1000억원 이상으로 알려졌다. 올해 AVOD 시장 규모는 국내에서만 2조 2000억원에 달한다. 더구나 올해 안으로 3조원이 넘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시장 규모로 봤을 때는 SVOD의 3배를 넘는 셈이다. 글로벌 AVOD 플랫폼으로 꼽히는 로쿠채널, 플루토TV, 쥬모(Xumo) 등의 국내 진출 소식은 아직 없으니 삼성으로서는 이미 거대 글로벌 기업들이 선점하고 있는 SVOD에 비해 AVOD에서 성공 가능성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의 이와 같은 행보를 두고 업계 일부에서는 “하드웨어인 중심의 사업에 소프트웨어인 미디어·콘텐츠 사업을 연계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노리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삼성TV플러스, 삼성전자의 승부수 될까?

하지만 삼성전자의 입장은 조심스러운 듯하다. 아직 공식적인 OTT시장 진출 발표를 하지 않았기때문이다. 콘텐츠 유형의 차이는 있지만 광고를 보고 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방식은 동영상 공유 서비스인 유튜브와도 유사하다. 이미 거대 인프라를 확보한 글로벌 OTT 기업들이 삼성TV플러스와 같은 AVOD 시장으로 영역을 확장할 가능성 또한 아예 무시할 수는 없다.

더구나 코로나19 사태로 급성장한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은 최근 새로운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세계 주요국에 백신이 보급되어 사람들의 야외활동이 늘어나며 ‘신규 가입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 금융전문지 배런즈는 이를 두고 “음악·동영상 등 여러 개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독하는 사람들이 점차 꼭 필요한 것만 구독하려는 변화를 보이고 있다”며 “구독 피로감이 산업 전반에 예상보다 빠르게 찾아올 수 있다”고 예측하기도 했다.

이러한 위기는 이미 기업들도 체감하며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20일 발표된 넷플릭스의 게임 시장 진출이 대표적이다. 넷플릭스는 이날 주주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오리지널 영화와 애니메이션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한 것처럼 새로운 콘텐츠 카테고리로 게임을 주목하고 았다”고 밝혔다. 넷플릭스는 모바일에 초점을 맞춘 게임 콘텐츠를 기존 넷플릭스 구독자에게 무료로 제공될 계획이다. 아마존이 취하고 있는 구독자 대상 서비스 패키징 방식이다.

디즈니는 최근 흥행작 '블랙위도우'를 극장과 디즈니플러스 동시 개봉했다. 디즈니플러스를 통해 거둬들인 추가 수익은 6000만 달러지만 전체 이용 계정 1억 3000만 개 중 200만 개 정도만이 추가금을 내고 구독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블랙위도우 홍보 이미지)

디즈니 역시 최근 흥행작 ‘블랙위도우’를 디즈니플러스와 극장에서 동시 개봉하는 전략으로 수익을 극대화 하고 있다. 디즈니에게 극장은 수익을 나눠야 하는 달갑지 않은 동업자에 불과하다. 반면 디즈니플러스를 통해 얻는 콘텐츠 수익은 오롯이 디즈니의 몫이다. 이에 디즈니는 ‘블랙위도우’를 극장 개봉과 함께 디즈니플러스에서도 동시에 제공하며 콘텐츠 구매 비용 명목으로 30달러를 추가로 받는 정책을 실시했다. 북미 상영 첫 주말 ‘블랙위도우’의 극장 수익은 8000만달러, 디즈니플러스를 통해 거둔 수익은 6000만 달러였다. 금액상으로는 나쁘지 않은 듯하지만, 이는 디즈니플러스 전체계정인 1억 300만 개 중 약 200만 계정 정도가 시청한 결과다. 디즈니로서는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 SVOD 방식의 OTT 플랙폼들의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 지는 가운데, 삼성전자 ‘삼성TV플러스’ 선택은 일단 나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몇몇 전문가는 “하드웨어 기업인 삼성전자가 과연 콘텐츠라는 소프트웨어 사업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할 문제”라고 평가하고 있다. 실제 앱 마켓을 비롯해 삼성전자가 이제까지 내 놓은 콘텐츠 사업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삼성TV플러스’의 향후 행보가 더욱 궁금해지는 이유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팀뷰어가 전망하는 2025년 인공지능 발전 방향은?

이번 전망과 관련해 팀뷰어 측은 “AI가 주도하는 변화는 초기 징후를 보고 있지만 진정한 변화는 AI 기능들이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될 때 일어날 것”이라며 AI가 기술 지원을 위한 30초짜리 튜토리얼 비디오를 생성한다거나 교육을 위한 시각적 시뮬레이션을 만드는 등의 방식을 언급했다.  

딥엘이 전하는 2025년 주목해야 할 AI 트렌드… “맞춤형 전문 AI 솔루션의 시대가 온다”

딥엘의 주요 임원들은 내년에 AI가 단순한 툴을 넘어 협업하는 동료로 발전할 것으로 내다보며,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띤 맞춤형 AI 솔루션이 핵심 키워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금부터 딥엘 전문가들이 전하는 예측하는 2025년 AI 트렌드를 살펴본다.

[마루에서 만난 사람] 김연석 제틱에이아이 대표 “AI 기업을 위한 원스톱 온디바이스 AI 전환 솔루션을 만들고 있습니다”

멜란지는 현재 베타 버전 단계에서도 전 세계에 보급된 모바일 NPU의 80%에 적용 가능한 수준이다. 향후에는 아직 지원되지 않은 나머지 20%를 채워 나가는 것이 목표다. 궁극에는 NPU가 적용된 세상의 모든 기기에서 동작하는 온디바이스 AI 서비스를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그 시점을 언급하며 ‘공존하는 생태계’에 대한 구상을 털어놨다.

‘로보택시 Vs. 자차 자율주행’ 미래 교통의 승자는?

자율주행차 업계가 숨가쁘게 돌아가고 있다. GM이 그동안 투자했던 자율주행 로보택시 기업 크루즈에 대한 투자를 전면 중단한 가운데, 구글 모기업 알파벳의 로보택시 자회사 웨이모는 오히려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우버는 기존 자율주행차 제조업체에서 유통업체를 전략을 바꾸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애플은 10년 공들인 자율주행차 사업 포기를 결정했으며 테슬라는 해당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