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30조 빅테크 기업으로...통신-비통신 사업 분할 

SK텔레콤의 기업 분할이 공식화됐다. 지난 14일 SK텔레콤은 기업 구조의 개편을 공식화하고, 회사를 통신 사업과 비통신 사업으로 나누어 '빅테크' 기업으로의 가치 극대화에 나선다. 

통신 사업에는 SK텔레콤 존속회사(AI&디지털 인프라 컴퍼니), 비통신 사업은 SK텔레콤 신설회사(ICT 투자전문회사)로 인적분할이 된다. 새로운 사명은 추후 결정된다. 

존속회사인 AI&디지털 인프라 컴퍼니는 SK텔레콤이 해오던 이동통신 관련 사업과 SK브로드밴드의 유선/미디어 사업 등을 이어간다. 

신설회사인  ICT 투자전문회사에는 반도체 기업인 SK하이닉스, ADT캡스, 11번가, 티맵모빌리티 등 ICT 계열사를 자회사로 두는 안이 거론된다.

SK텔레콤의 기업구조 재편안

탈통신 실현...반도체 투자 확대와 ICT 신사업 확장

최근 통신사는 탈통신을 외치며 ICT 플랫폼을 근간으로 한 기업가치 올리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SK텔레콤 역시 전통적인 통신 사업을 한 축으로하고, 반도체와 ICT 신사업을 분리해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이 이번 인적 분할의 핵심이다. 

이는 구글이 지주회사인 '알파벳'을 설립해 기존의 검색 사업과 미래 신성장 사업을 구분한 사례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특히 SK텔레콤은 'ICT 투자전문회사'라는 명칭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슈퍼 사이클에 돌입한 반도체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SK하이닉스에 대해서는, 활발한 인수합병과 시장의 재평가를 통해 투자 자금을 집중 수혈해 사업을 키운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과거 SK하이닉스가 키옥시아(구 도시바메모리) 투자, 인텔 낸드 사업부 인수를 진행했을 때보다 더욱 활발한 투자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기타 ICT 신사업 역시 투자를 통해 기업 규모를 키워 나간다. 사실 '텔레콤' 기업이 빅테크 기업으로 거듭나기가 쉽지 않았다. 텔레콤이란 이름 아래서 이커머스와 모빌리티 사업 등이 빛을 발하기가 어려웠다는 뜻이다. 너무 유명한 브랜드가 새로운 사업의 기업가치 제고에 방해가 됐다.  

이처럼 SK텔레콤의 인적 분할(지배구조 개편)은 ICT 투자전문회사를 통해 빅테크 기업으로의 도약과 더불어, SK하이닉스의 투자 여건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업가치 30조원으로..."SK(주)+SK하이닉스 합병 없다"

관련 업계에서는 이번 지배구조 개편에서 신설회사인  ICT 투자전문회사가 SK(주)와 합병해, SK하이닉스를 SK㈜의 자회사가 될 것을 예측해왔다. 다만 14일 발표에서는 SK㈜와 합병 계획이 없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대신  ICT 투자전문회사가 직접 투자에 나설 수 있게 돼, 'SK(주)의 손자회사로 인한 투자 제한' 요소가 어느 정도 희석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구조 재편을 통한 기업가치 상승의 기대감도 커졌다. 증권가에서는 SK텔레콤이 분할 이후 존속회사와 신설회사의 합산가치가 기존 22조원 수준에서 향후 30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바 있다. 

김효정 기자

hjkim@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드론? UFO?’ 미국 상공 ‘자동차 크기 비행체’ 정체는?

바다 위를 비정상적인 패턴으로 비행하는 자동차 크기 만한 비행체 50대를 목격한다면? 내 머리 위를 날고 있는 스쿨버스 크기 만한 비행체를 목격하게 된다면? 현재 미국 전역 상공에서 목격되고 있는 미스터리한 비행체에 대한 불안감이 커져가면서, 진실을 요구하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1km 밖 인마살상’ 소형드론엔···초강력 레이저 총 탑재

중국 인민해방군 산하 중국 국방과기대학(國防科技大學) 연구진이 그동안 불가능한 것으로만 여겨져 왔던 사람은 물론 장갑차 철판까지 뚫는 초강력 레이저총을 탑재한 소형 드론 개발에 성공했다. 소형 드론에 강력한 레이저총을 탑재할 수 있는 기술력은 지금까지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져 왔기에 주목받고 있다. 이를 이용하면 육안으로는 피아 식별조차 불가능한 1km 밖 거리에서도 적군을 정확히 공격할 수 있다.

[인터뷰] 백명현 스테이지랩스 대표 “아티스트와 팬을 연결하는 양방향 라이브 플랫폼을 만들고 있습니다”

지난 2016년 백명현 대표가 창업한 스테이지랩스는 K-팝 디지털 포토카드 플랫폼 ‘tin(틴)’을 비롯해 CJ ENM과 전략적 협업을 통해 탄생한 글로벌 K-팝 컬쳐 플랫폼 ‘엠넷플러스’, 최근 론칭한 ‘링크(liNC)라는 삼각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그렇게 확보한 글로벌 이용자 수가 무려 1200만명에 이른다. 특히 자체 개발 플랫폼 ‘링크(LiNC)의 경우 이용자의 84%, 누적 매출의 95%가 글로벌에서 발생하는 상황이다. 갖 론칭한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놀라운 지표가 아닐 수 없다.

트럼프 2기 행정부, AI규제 완화한다는데... AI 산업계 어떻게 달라질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으로 미국의 AI 정책이 큰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AI 혁신과 국가안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바이든 행정부의 AI 규제를 대폭 완화할 것으로 보인다.